스코프가 뭐죠?-[JS]
스코프(Scope)는 유효범위라는 뜻이다.
밑에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다.
function add(x,y){
//매개변수는 함수 몸체 안에서만 참조 할 수 있다.
//즉, 매개변수의 스코프(유효범위)는 함수 안이다.
console.log(x,y); //2 5
return x+y;
}
add(2,5);
//매개변수는 함수 몸체 안에서만 참조 할 수 있다
console.log(x,y); //ReferenceError: x is not defined
매개변수는 함수 몸체 안에서만 참조 할 수 있으므로 함수 외부에서는 참조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다.
즉, 매개변수의 스코프(유효범위)는 함수 몸체 내 이다.
변수는 코드의 가장 바깥 영역 뿐만 아니라, 코드 블록 안에, 함수 몸체 안에 내에서 선언 할 수 있다.
코드 블록이나 함수는 중첩 가능하다.
var var1 = 1; //코드의 가장 바깥 영역에서 선언 가능
if(true){
var var2 = 2; //코드 블록 내에서 선언한 변수
if(true){
var var3 = 3; //중첩된 코드블록 내에서 선언한 변수
}
}
}
function foo(){
var var4 = 4; //함수 몸체 내에서 선언한 변수
function bar(){
var var5 = 5;//중첩된 함수 내에서 선언한 변수
}
}
console.log(var1); //1
console.log(var2); //2
console.log(var3); //3
console.log(var4); //ReferenceError:var4 is not defined
console.log(var5); //ReferenceError:var5 is not defined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서 자신이 유효한 범위, 다른 코드가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범위가 결정된다.
변수뿐 아니라 모든 식별자가 그렇다.
즉, 모든 식별자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서, 다른 코드가 식별자 본인을 참조 할 수 있는 유효범위가 결정된다
이것이 스코프이다!.!
var x = 'global'; ....1
function foo(){
var x = 'local'; .....2
console.log(x); //local
}
foo();
console.log(x); //global
코드의 가장 바깥 블록에 x(.....1)라는 변수가 있고 x는 global이라는 문자열을 참조한다.
foo()함수 안에도 마찬가지로 x(....2)라는 변수가 있고 x는 local이라는 문자열을 참조한다.
두 x가 다른 점이 있다면, 코드의 가장 바깥에 선언된 x는 어디서든 참조 할 수 있다.
그러나 함수 몸체 안에서 선언된 x는 foo함수 안에서만 참조될 수 있고, foo함수 외부에서는 호출 할 수 없다.
이떄, 두 x는 이름은 동일하지만, 자신이 유효한 범위, 스코프가 다른, 별개의 변수이다.
var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의 중복
function foo(){
var x = 1;
var x = 2;
console.log(x); // 2
}
foo();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동일한 스코프내에서 중복 선언을 허용한다.
이는 변수의 값이 의도치 못하게 재할당되어 변경되는 부작용을 야기한다.
let이나 const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같은 스코프 내에서 중복 선언을 허용하지 않는다.
JS에서 스코프를 크게 2가지로 나누어보면 전역스코프-지역스코프로 나눌 수 있다.
- Global Scope (전역 스코프) - 코드의 가장 바깥 영역
- Local Scope (지역 스코프) - 함수 몸체 내부
전역 스코프는 전역에 선언되어 있어서 어느 곳에서나 해당 변수에 접근 할 수 있다.
반대로 지역 스코프는 해당 지역에만 접근 가능해서 해당 지역을 벗어나면 접근 할 수 없다.
var x = "global x";
var y = "global y";
function outer(){
var z = "outers local z";
console.log(x); //global x
console.log(y); //global y
console.log(z); //outers local z
function inner(){
var x = "inners local x";
console.log(x); //inners local x
console.log(y); //global y
console.log(z); //outers local z
}
inner();
}
outer();
console.log(x); //global x;
console.log(z); //ReferenceError:z is not defined
위의 예제를 살펴보자.
전역이란 코드의 가장 바깥 영역을 의미한다. 전역은 전역 스코프를 만든다. 전역에 변수를 선언하면
전역스코프를 갖는 전역변수가 된다. 전역변수는 어디서든 참조할 수 있다.
위의 코드에서 코드 가장 바깥에 선언한 x와 y는 전역변수이다. 전역변수는 어디서든 참조 할 수 있으므로, 함수 내부에서도 또한 참조 가능하다.
지역과 지역 스코프
지역이란 함수 몸체 내부를 말한다. 지역은 지역 스코프(local scope)를 만든다. 지역에 변수를 선언하면 지역 스코프를 갖는 지역변수가 된다.
지역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지역과 하위 지역(중첩 함수)에서만 참조 할 수 있다.
즉, 지역 변수는 자신의 지역 스코프와 하위 지역 스코프 에서 유효하다.
위의 예제의 outer함수 안에서 선언한 z는 지역변수이다.
지역 변수 z는 자신의 지역스코프와 outer함수의 하위 스코프인 inner함수 내부에서 참조 할 수 있다.
inner함수 안에서 선언한 x는 지역변수이다. 마찬가지로 inner함수 내부에서만 참조 할 수 있다 (하위 스코프 존재 x)
지역변수 x를 inner함수 외부에서 참조하면 오류가 나야한다.
그런데 inner함수 내부의 x외에 이름이 같은 전역 변수 x가 존재한다.
이떄 inner함수 내에서 변수 x 참조 시, 지역변수 x가 참조되고, inner함수 외부에서 변수 x 참조 시, 전역변수 x가 참조된다.
스코프 체인
함수의 정의는 전역에서, 함수 몸체 안에서 모두 가능하다.
function foo(){
console.log('A');
function inner_foo(){
console.log('B');
}
}
함수 몸체 안에서 정의한 함수를 중첩 함수, 중첩 함수를 포함하는 함수를 외부 함수라고 한다.
함수는 중첩될 수 있으므로, 함수의 지역 스코프도 중첩될 수 있다.
즉, 스코프는 '함수의 중첩에 의해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 라고 말할 수 있다.
아까의 코드에서 크게 3가지 스코프로 나눌 수 있다.
1)전역 스코프
2)outer 지역 스코프
3)outer의 중첩함수 inner의 지역스코프
지역 스코프는 2가지, outer함수의 지역 스코프, inner함수의 지역 스코프이다.
inner함수는 outer함수의 중첩 함수이다. 이때 outer함수의 지역 스코프는 inner함수가 만든 지역 스코프의 상위 스코프이다.
또 outer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전역 스코프이다. 이러한 계층적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낸다면 아래와 같다.
이처럼 모든 스코프는 하나의 계층적 구조로 연결되며, 모든 지역 스코프의 상위 스코프는 전역 스코프이다
이렇게 스코프가 계층적으로 연결된 것을 스코프 체인 이라고 한다.
위 그림에서 스코프 체인은 최상위 스코프인 전역 스코프, 전역에서 선언된 outer함수의 지역 스코프,
outer함수 내에서 선언된 inner함수의 지역 스코프로 이루어진다.
변수를 참조할 떄,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 체인을 통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해,
상위 스코프로 이동하면서 선언된 변수를 찾는다.
이를 통해 상위 스코프에서 선언한 변수를 하위 스코프에서 참조 할 수 있다.
스코프 체인은 실제 물리적으로 존재한다. JS엔진은 코드를 실행하기 전 렉시컬 환경을 실제로 생성한다.
변수 선언이 이루어지면 변수 식별자가 렉시컬 환경의 Key로 등록되고, 변수 할당 시, 이 자료구조의 변수 식별자에 해당하는 값을 변경한다.
-스코프 체인의 부가적인 정보-
Key takeaways
First, It is created when the function is invoked after creating the execution context of that function. This is why I wrote, “The scope chain of an execution context…”
- 스코프 체인은 해당 함수의 실행 컨텍스트가 생성된 이후 함수가 호출될 떄 생성된다.-
Second, it is read-only (internal). Browsers sometimes “expose” this read-only scope chain as [[Scope]] but you cannot do anything with it.
-스코프 체인은 읽기-전용이다. 브라우저는 가끔 이 읽기전용 스코프를 [Scope]라고 노출하는데, 이것은 편집 할 수 없다 -
Lastly, it is a chain of Lexical Environments that is traversed.
It is a lot simpler in practice than to know what is actually happening under the hood.
-스코프 체인은 실행 컨텍스트의 렉시컬 환경을 단방향으로 연결한 것이다 -
+
전역 렉시컬 환경 : 코드가 로드되면 곧바로 생성됨
함수의 렉시컬 환경 : 함수가 호출되면 바로 생성됨
함수 레벨 스코프
지역은 함수 몸체 내를 말하고, 지역은 지역스코프를 만든다.
이는 코드 블록이 아닌 함수에 의해서만 지역 스코프가 만들어진다는 점에 유의하자.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함수 몸체만이 아니라 모든 코드 블록이 지역 스코프를 만든다.
그러나 var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오직 함수의 코드블록(함수의 몸체 안)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이러한 특징을 함수 레벨 스코프(function level scope)라고 한다.
var x = 1;
if(true){
var x = 10;
}
console.log(x); //10
var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함수의 블록 (함수의 몸체 안)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즉, 함수 밖에서 var키워드로 선언된 것은 모두 전역변수이다.
즉, x는 전역변수이고 이미 선언된 x는 중복 선언이 허용되는 var로 인해 10으로 중복선언이 되었다.
이는 의도치 않게 변수 값이 변경되는 결과를 야기한다.
var i = 10;
for(var i = 0;i<5;i++){
console.log(i); //0 1 2 3 4
}
console.log(i);
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for문에서 선언된 i는 전역변수이고, 이미 전역변수 i가 있으므로 중복 선언되서
변수의 값이 의도치 않게 변경되었다.
=> ES6에서 도입된 let,const는 블록 레벨 스코프를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