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JS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긤효중 2022. 7. 3. 00:28

자바스크립트에서 제공하는 7가지 데이터 타입(숫자, 문자열, 불리언, null, undefined, 심벌, 객체)는 크게

원시 타입객체 타입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원시 값(숫자,null,.undefined,symbol,문자열,biginteger,boolean)

자바스크립트는 왜 데이터 타입을 구분하는가?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은 근본적으로 다르게 떄문에 자바스크립트는 데이터 타입을 구분한다.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은 어떻게 다른가???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다르다

 

1. 원시 타입의 값,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immutable value)이다. 반면, 객체 타입의 값은 변경 가능한(mutable)값 이다.

 

2.원시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실제 값이 저장된다 반면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참조 값이 저장된다.

 

3.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call by value)

 

반면 객체를 가르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call by reference)


원시 값 (변경 불가능한 immutable) 값

->한번 생성된 원시 값은 읽기 전용이고, 이를 바꿀 수 없다.

값을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자.

 

먼저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할당한 메모리 공간,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이름이다.

값은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로서, 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이다.

 

변경 불가능하다는 것은 변수가 아니라 값에 대한 설명이다.

 

->즉 원시 값을 변경 할 수 없다는 것은 원시 값 그 자체를 변경 할 수 없는것이지, 변수를 변경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변수는 언제든지 변수 재할당을 통해 변경 가능하다.

const o = {}; //const를 통해 생성한 변수는 재할당이 금지된다.

o.a = 1; //const를 통해 선언한 변수의 원시 값은 변경할 수 없지만,
		 //변수에 할당된 객체는 변경 가능하다.
         
console.log(o); //{o:1}

 

원시 값이 할당된 변수에 원시 값을 재할당하면,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재할당한 원시 값을 저장 후, 변수를 재할당한 원시 값을 가르킨다. (이때, 메모리 공간의 주소도 변경된다)


원시 값을 저장하라면 , 먼저 확보해야 하는 메모리 공간 크기를 정해야 함

자바스크립트는 원시 타입별로 메모리 공간의 크기가 이미 정해져 있다.


원시 값의 문자열의 독특한 특징들

-> 문자열은 0개 이상의 문자로 이루어진 집합이고, 1개의 문자는 2 byte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다.

따라서 문자열은 문자열의 길이에 의해 필요한 메모리 공간이 정해진다.

ex_)

"HELLOWORLD"라는 문자열은 10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고, 10*2Byte의 메모리 공간이 필요함

var str1 = '';
var str2 = 'Hello';

//각각 0,5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이고 문자열의 메모리 공간은 문자열 길이 * 2Byte

문자열은 원시 값이므로, 값의 재할당을 하면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잡아서 재할당한 원시 값(문자열)을 저장 후,

변수는 재할당한 원시 값을 가르키게 된다.

 

var str = 'Hello';
str = 'world';

//str변수가 재할당되었는데 , 새로운 문자열 world를 메모리에 생성하고 변수 str은 이 메모리 공간을 가르킨다

 

-> 이 결과로 'Hello'와 'world'은 모두 메모리에 존재한다.

 


유사 배열 객체 (array-like-objecyt)

 

유사 배열 객체란 마치 배열처럼 인덱스로 프로퍼티 값에 접근 할 수 있고, length 프로퍼티를 갖는 객체를 말한다

문자열은 배열처럼 인덱스를 통해 각 문자에 접근 가능하고 , length 프로퍼티를 갖기 떄문에 유사 배열 객체이다.

var str = 'string';

console.log(str.length) //6
console.log(str[2])

->원시 값인 문자열이 객체라고 하니깐 살짝 혼란스러운데, 원시 값을 객체처럼 사용하면 원시 값을 감싸는 래퍼 객체로 자동 변환된다고 한다.

 

var str = 'string';
str[0] = 'S';
consople.log(str) // 'string'

 

위의 코드에서 str[0]을 S로 바꿔도 전체 문자열은 바뀌지 않는다. 문자열은 immutable(변경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번 문자열이 생기면 읽기전용이고, 바꿀 수 없다.

그러나 새로운 문자열을 재할당하는 것은 가능하다.

-> 기존 문자열을 바꾸는 게 아니라 메모리를 하나 만들고 새로운 문자열을 저장하기 때문에